11. 모바일 관리


해당 Chapter에서는 HONE Smart Platform의 Admin에 등록된 항목을 관리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 및 조회가 가능한 항목과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앱 관리
    등록된 앱의 정보 확인, 설정 정보 변경 및 강제 업데이트 설정 등의 기능 제공
  • 웹 리소스 관리
    등록된 웹 리소스의 배포 버전 관리, 다운로드 기능 제공
  • 앱 파일 관리
    등록된 앱 파일의 배포 버전관리, 다운로드 및 강제 업데이트 설정 등의 기능 제공
  • 단말기 정보 조회
    HONE Smart Platform의 Operations Center에 접속하여 등록된 단말기 정보 조회
  • 구성 관리
    HONE Smart Platform의 Client의 설정 정보 값 변경

 


앱 관리

기존 앱에 입력된 정보의 변경은 하위메뉴인 상세 화면에서 기능을 제공한다.
상세 화면의 진입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로그인 성공 후 최초 화면에서 상단 메뉴 중 “모바일” 메뉴를 선택한다.
    모바일메뉴.png
     
  2. 모바일 화면에서 좌측 메뉴 중 “앱”을 선택한다.
    좌측메뉴-앱.png
     
  3. 앱 화면에서 출력된 목록 중 변경을 원하는 앱 항목을 선택한다.
    앱목록.png
     
  4. 앱의 상세 화면이 다음과 같이 출력된다.

    앱상세화면.png

    • 앱 이름: 앱의 이름 (변경 불가 항목)
    • 제목: 앱의 제목 (변경 가능)
    • 위변조: 웹 리소스 위변조 기능 사용 여부 설정 (변경 불가 항목)
    • 등록 단말기: 해당 앱에 접속된 단말기의 누적 수(변경 불가 항목)
    • 생성일자: 최초 앱 생성 일자 (변경 불가 항목)
    • 수정일자: 앱의 갱신 일자 (변경 불가 항목)
    • 네트워크 암호화: 구간 암호화 사용 여부 설정 (변경 가능)
    • 상태: 앱의 현 상태 (변경 가능)
    • 리포트: 리포트 수집 및 분석 여부 설정 (변경 가능)
    • 태그: 앱의 태그 (변경 가능)

 

제목 변경

앱의 상세 화면에서 기존에 작성된 제목의 변경이 가능하다. 앱의 제목은 앱을 대표하는 텍스트로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목 변경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관리 참조)
      
  2. 제목 항목에 변경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입력한다.
    앱디테일-타이틀.png
     
  3. 우측하단에 “저장” 버튼을 선택한다.
    업데이트버튼.png
     
  4. 저장 결과 팝업이 출력되며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앱업데이트팝업.png

 

상태 변경

각 앱의 상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비활성화된 앱은 HONE Smart Platform의 Client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며 동작을 하지 않는다.
상태 변경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관리 참조)
     
  2. 상태 항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로 변경한다.
    • 비활성화버튼.png  (비활성화): 앱 비활성화
    • 활성화버튼.png  (활성화): 앱 활성화
       
  3. 상태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이 출력된다.
    앱상태변경확인.png
     
  4. 상태 변경 여부 팝업에서 우측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한다.
    변경버튼.png
     
  5. 결과 팝업이 출력되며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앱업데이트팝업.png

 

태그 변경

앱의 상세 화면에서 기존에 작성된 태그의 변경이 가능하다.
변경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관리 참조)
      
  2. 태그 항목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입력한다.
    앱디테일-태그.png
     
  3. 우측하단에 “저장” 버튼을 선택한다.
    업데이트버튼.png
     
  4. 저장 결과 팝업이 출력되며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앱업데이트팝업.png

 

네트워크 암호화 변경

앱의 상세 화면에서 기존에 설정된 네트워크 암호화의 변경이 가능하며 변경 시 이전 상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동작된다. 

  •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변경 시: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팝업 출력없이 바로 적용
  •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 시: 상태 변경에 따른 알림 팝업이 출력되어 앱의 재 실행 유도

네트워크 암호화 변경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관리 참조)
      
  2. 네트워크 암호화 항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로 변경한다.
    • 비활성화버튼.png  (비활성화): 네트워크 암호화 비활성화
    • 활성화버튼.png  (활성화): 네트워크 암호화 활성화
        
  3.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이 출력된다.
    앱강제업데이트팝업.png
     
  4. 변경 여부 팝업에서 우측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한다.
    변경버튼.png
     
  5. 결과 팝업이 출력되며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앱업데이트팝업.png

 

리포트 변경

각 앱의 리포트 수집 및 분석 여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리포트 변경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관리 참조)
      
  2. 리포트 항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로 변경한다.
    • 비활성화버튼.png  (비활성화): 리포트 비활성화
    • 활성화버튼.png  (활성화): 리포트 활성화
        
  3.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이 출력된다.
    앱강제업데이트팝업.png
     
  4. 변경 여부 팝업에서 우측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한다.
    변경버튼.png
     
  5. 결과 팝업이 출력되며 적용 여부를 확인한다.
    앱업데이트팝업.png

 


웹 리소스 관리

등록된 웹 리소스의 관리는 앱의 하위메뉴인 웹 리소스의 상세 화면에서 기능을 제공한다.

웹 리소스 상세 화면의 진입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로그인 성공 후 최초 화면에서 상단 메뉴 중 “모바일” 메뉴를 선택한다.
    모바일메뉴.png
     
  2. 모바일 화면에서 좌측 메뉴 중 “앱”을 선택한다.
    좌측메뉴-앱.png
     
  3. 앱 화면에서 출력된 목록 중에 변경하고자 하는 웹 리소스가 등록된 앱을 선택한다.
    앱목록.png
     
  4. 선택된 앱 화면에서 상단에 출력된 메뉴 중 “웹 리소스”를 선택한다.
    상단메뉴-웹리소스.png
     
  5. ⑤ 화면 좌측 상단에는 워크스페이스의 웹 리소스가 출력되고, 중단에는 등록된 버전 그리고 하단에는 배포된 버전 목록이 출력된다.
    워크스페이스의 웹 리소스 또는 등록된 버전이나 배포된 버전의 웹 리소스를 선택한다.
    웹리소스목록.png
     
  6. 화면 우측 상단에는 선택된 웹 리소스의 전체 파일 목록이 출력된다. 화면의 디렉터리를 마우스 더블 클릭하면 하위 디렉터리로 이동되며 현재 디렉터리 위치가 상단에 출력된다.
    웹리소스상세.png
     
  7. 화면 우측 하단에는 선택된 웹 리소스의 변경 파일 목록과 변경 내용이 출력된다.
    웹리소스버전상세.png

 

웹 리소스 변경

워크스페이스의 웹 리소스 전체 파일 목록 화면에서 개별 파일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고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변경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웹 리소스 전체 파일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웹 리소스 관리 참조)
      
  2. 전체 파일 목록 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이 상세 메뉴가 출력된다.

    웹리소스전체파일목록메뉴.png

    • 다운로드: 선택된 웹 리소스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 삭제: 선택된 웹 리소스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삭제하는 메뉴이며 다음과 같이 확인하는 팝업이 출력된다.
      삭제된 파일은 하단 변경 파일 목록에 출력된다.
      웹리소스파일삭제1.png 웹리소스파일삭제2.png
    • 추가: 전체 파일 목록 화면의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웹 리소스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추가한다. 파일이 많을 경우에는 zip파일로도 추가가 가능하다.
      추가된 파일은 하단 변경 파일 목록에 출력된다.
      웹리소스파일추가1.png 웹리소스파일추가2.png

 

웹 리소스 등록 및 배포

워크스페이스의 웹 리소스 변경이 끝나면 웹 리소스 신규 버전을 등록한다.
신규로 생성된 버전의 웹 리소스 변경이 필요하면 다시 등록이 가능하며, 등록된 순서에 따라 순번이 생성된다. 최종 등록이 완료되면 배포가 가능하다.

등록 및 배포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웹 리소스 전체 파일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웹 리소스 관리 참조)
     
  2. “버전 등록” 버튼을 선택한다.
    웹리소스버전등록버튼.png
     
  3. 다음과 같이 출력된 팝업 화면에서 “등록”을 선택한다.
    웹리소스버전등록팝업.png
     
  4. 웹 리소스 변경이 필요하면 다시 등록한다.
     
  5. 웹 리소스 좌측 상단에서 신규로 생성된 버전의 순번을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을 한다.
    웹리소스버전등록결과.png
     
  6. 상세 메뉴에서 “배포” 버튼을 선택한다.
    웹리소스배포버튼.png
     
  7. 노출된 팝업 화면에서 유형을 선택하고, 메모를 작성한다. 최초 배포 버전은 “전체 업데이트” 로 선택되며 이후부터는 “부분 업데이트”로 자동 선택된다. 작성이 완료되면 “배포” 버튼을 선택한다.
    웹리소스배포팝업.png
     
  8. 웹 리소스 화면 좌측 하단에서 배포된 신규 버전을 확인한다.
    웹리소스배포결과.png

 

버전별 웹 리소스 다운로드

웹 리소스 배포 버전 목록 화면에서 웹 리소스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다운로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웹 리소스의 배포 버전 목록 화면으로 이동한다. (웹 리소스 관리 참조)

    출력된 버전별 웹 리소스 목록을 확인한다.
     
  2. 다운로드할 버전을 선택하여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이 상세 메뉴가 출력된다.

    웹리소스다운로드메뉴.png

    • 전체 업데이트: 웹 리소스 전체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 부분 업데이트: 이전 배포 버전과 비교하여 변경된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 누적 업데이트: 이전 전체 배포 버전과 비교하여 변경된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3. 출력된 메뉴에서 원하는 다운로드를 선택하여 진행한다.

 


앱 파일 관리

등록된 앱 파일의 관리는 앱의 하위메뉴인 앱 파일 화면에서 기능을 제공한다.

앱 파일 화면의 진입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로그인 성공 후 최초 화면에서 상단 메뉴 중 “모바일” 메뉴를 선택한다.
    모바일메뉴.png
     
  2. 모바일 화면에서 좌측 메뉴 중 “앱”을 선택한다.
    좌측메뉴-앱.png
     
  3. 앱 화면에서 출력된 목록 중에 변경하고자 하는 앱 파일이 등록된 앱을 선택한다.
    앱목록.png
     
  4. 선택된 앱 화면에서 상단에 출력된 메뉴 중 “앱 파일”을 선택한다.
    상단메뉴-앱파일.png

이후 화면은 앱 파일 등록 시 선택된 배포 유형에 따라 상이하며 상세 내용은 하위 Chapter를 참고한다.

 

HSP Server 배포 유형

앱 파일 등록 시 배포 유형을 HSP Server로 선택한 경우 각 화면의 진입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화면 좌측에 등록된 앱 파일의 목록이 출력되며 변경하고자 하는 앱 파일을 목록에서 선택한다.
    앱파일목록.png
     
  2. 화면 우측에 선택된 앱 파일의 상세화면과 버전별 목록이 출력된다.
    앱파일상세화면.png
      
  3. 버전별 목록에서 우측의 “상세내용” 버튼을 선택하면 앱 파일의 버전별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앱파일버전상세.png

 

강제 업데이트 설정

HONE Smart Platform은 2가지의 앱 파일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에게 앱 파일의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고 적용 여부를 선택 받는 기본 업데이트
  • 사용자에게 앱 파일의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나 적용 여부와 상관없이 진행하는 강제 업데이트

배포되는 앱 파일은 기본값으로 강제 업데이트가 비활성화되는 기본 업데이트로 실행되며 강제 업데이트는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강제 업데이트 변경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2. 강제 업데이트 항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로 변경한다.
    • 비활성화버튼.png  (비활성화): 강제 업데이트 비활성화
    • 활성화버튼.png  (활성화): 강제 업데이트 활성화
       
  3. 다음과 같이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에서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강제 업데이트 설정이 적용된다.
    앱파일강제업데이트팝업.png

 

버전별 앱 파일 배포 활성화 설정

앱 파일의 버전별 앱 파일 목록 화면에서 기존에 등록된 앱 파일의 버전별 배포 활성화 설정이 가능하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여 기존에 등록된 앱 파일의 버전별 목록에서 배포하고자 하는 앱 파일 선택이 가능하다.

변경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우측 하단에 출력된 버전별 앱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
     
  2. 앱 파일의 버전별 목록에서 배포하고자 하는 앱 파일 항목의 배포를 변경한다.
    • 미선택아이콘.png  (미선택): 배포 비활성화
    • 선택아이콘.png  (선택): 배포 활성화
       
  3. 다음과 같이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에서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배포 활성화 설정이 적용된다.
    앱파일배포변경팝업.png

 

버전별 앱 파일 다운로드

앱 파일의 버전별 앱 파일 목록 화면에서 기존에 등록된 앱 파일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다운로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우측 하단에 출력된 버전별 앱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
     
  2. 앱 파일의 버전별 목록에서 다운로드하고자 앱 파일 항목의 “상세내용” 버튼을 선택한다.
    디테일버튼.png
     
  3. 상세 팝업 화면에서 하단의 “다운로드” 버튼을 선택한다.
    다운로드버튼.png
     
  4.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버전별 앱 파일 삭제

앱 파일의 버전별 앱 파일 목록 화면에서 기존에 등록된 앱 파일의 삭제가 가능하다.

삭제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우측 하단에 출력된 버전별 앱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
     
  2. 앱 파일의 버전별 목록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앱 파일 항목의 “상세내용” 버튼을 선택한다.
    디테일버튼.png
     
  3. 상세 팝업 화면에서 하단의 “삭제” 버튼을 선택한다.
    삭제버튼.png
     
  4. 다음과 같이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 창에서 하단의 “삭제” 버튼을 선택하면 앱 파일이 삭제 된다.
    앱파일삭제팝업.png

 

Play Store/App Store 배포 유형

Public Store(Play Store 또는 App Store)에 등록된 앱 파일의 배포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기능은 HSP Client를 적용하고 updateLauncherAction의 from 값을 store로 적용한 앱에 한정하여 기능을 제공한다. 

앱 파일 등록 시 배포 유형을 Public Store로 선택한 경우 각 화면의 진입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화면 좌측에 등록된 앱 파일의 목록이 출력되며 변경하고자 하는 앱 파일을 목록에서 선택한다.
    Store앱파일목록.png
     
  2. 화면 우측에 선택된 앱 파일의 상세화면에 등록 시 입력한 기본 정보가 출력된다.
    Store앱파일-상세-업데이트전.png
      
  3. Public Store에 등록된 앱 파일을 관리하는 절차는 하위 Chapter를 참고한다.

 

강제 업데이트 설정

HONE Smart Platform은 2가지의 앱 파일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사용자에게 앱 파일의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고 적용 여부를 선택 받는 기본 업데이트
  • 사용자에게 앱 파일의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나 적용 여부와 상관없이 진행하는 강제 업데이트

배포되는 앱 파일은 기본값으로 강제 업데이트가 비활성화되는 기본 업데이트로 실행되며 강제 업데이트는 설정을 변경한 경우에만 적용된다.

강제 업데이트 변경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2. 강제 업데이트 항목을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로 변경한다.
    • 비활성화버튼.png  (비활성화): 강제 업데이트 비활성화
    • 활성화버튼.png  (활성화): 강제 업데이트 활성화
       
  3. 다음과 같이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에서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강제 업데이트 설정이 적용된다.
    앱파일강제업데이트팝업.png

 

배포 설정

Public Store에 등록된 앱 파일의 배포를 설정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2. 배포 메뉴를 이용하여 배포 여부를 설정한다.
    • 비활성화버튼.png  (대기): 앱 파일 배포 대기
    • 활성화버튼.png  (배포): 앱 파일 배포
       
  3. 다음과 같이 변경 여부를 확인하는 팝업창에서 하단의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배포 설정이 적용된다.
    앱파일강제업데이트팝업.png

 

버전 설정

Public Store에 등록된 앱 파일의 버전 정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입이 가능하다. 

버전 수동 변경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앱 파일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한다. (앱 파일 관리 참조)
     
  2. 버전 항목에 버전 정보를 기입한다.
    Store앱파일-상세-버전.png
      
  3. 앱 파일 상세 화면의 우측 하단의 저장 버튼을 선택한다.
    Update버튼.png  
      
  4. 다음과 같이 변경 결과 팝업창에서 하단의 “닫기” 버튼을 선택하면 설정이 적용된다.
    Store앱파일-업데이트팝업.png

 


단말기 조회

앱에 등록된 단말기의 정보 조회와 같은 기능을 앱의 하위메뉴인 단말기 화면에서 제공한다.

단말기 화면의 진입 절차 및 조회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로그인 성공 후 최초 화면에서 상단 메뉴 중 “모바일” 메뉴를 선택한다.
    모바일메뉴.png
     
  2. 모바일 화면에서 좌측 메뉴 중 “앱”을 선택한다.
    좌측메뉴-앱.png
     
  3. 앱 화면에서 출력된 목록 중 단말기 조회를 원하는 앱 항목을 선택한다.
    앱목록.png
     
  4. 선택된 앱 화면에서 상단에 출력된 메뉴 중 “단말기”을 선택한다.
    상단메뉴-디바이스.png
     
  5. 검색 조건을 입력하는 화면이 출력되며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으며 검색 조건 입력 후 “검색” 버튼을 선택하면 검색 결과가 출력된다.

    디바이스-검색조건.png

    • 최근 로그인 기간: 최근 로그인 날짜 및 시간에 해당하는 기간 선택
    • OS: 전체/iOS/Android 중 선택
    • 단말기 아이디: 단말기의 아이디 (해당 값은 Operations Center로부터 자동 할당됨)
       
  6. 검색 조건에 따라 출력되는 검색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바이스-검색결과.png
     
  7. 각 항목의 상세 내용 확인이 가능하며 “상세내용” 버튼 선택 시 다음과 같은 팝업이 출력된다.
    디바이스-디테일.png

 


구성 변경

HONE Smart Platform의 앱 파일에 적용된 설정 정보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앱의 하위메뉴인 구성 화면에서 제공한다.

구성 화면의 진입 절차 및 적용은 다음과 같다.

  1. 로그인 성공 후 최초 화면에서 상단 메뉴 중 “모바일” 메뉴를 선택한다.
    모바일메뉴.png
     
  2. 모바일 화면에서 좌측 메뉴 중 “앱”을 선택한다.
    좌측메뉴-앱.png
     
  3. 앱 화면에서 출력된 목록 중 구성의 변경을 원하는 앱 항목을 선택한다.
    앱목록.png
     
  4. 선택된 앱 화면에서 상단에 출력된 메뉴 중 “구성”을 선택한다.
    상단메뉴-설정.png
     
  5. 구성 입력 화면이 출력된다.
    config입력창.png
     
  6. 구성 정보를 입력 후 하단의 ”저장” 버튼을 선택하면 동적으로 앱 파일에 해당 구성 정보가 적용된다.
    입력될 구성의 규격은 Android/iOS Client 개발자 가이드 문서의 configuration.json 내용을 참고한다.
    config입력완료.png